난임시술 지원을 받는 경우, 병원 진료는 지원금에서 차감되어 결제되므로 따로 청구할 필요가 없지만, 처방받은 약의 경우는 따로 보건소 혹은 정부24 홈페이지로 청구해야한다.
1. 난임시술 약제비 지원가능 약제
2. 준비할 서류
3. 정부24에서 온라인 청구 하는 방법
4. 중요 주의사항
난임시술 약제비 지원 가능 약제
인공수정이나 시험관과 같은 난임시술 전, 후에 쓰이는 대부분의 약물이 해당된다. 시술과 직접적 관련 있는 약제비에 대해 정부지원금액 한도 내에서 지급받을 수 있다.
※ 1개월 이내에 관할 보건소로 청구한다. (1개월을 넘어간 경우 사유를 적으면 된다.)
* 지원가능약제
프로게스테론 질정 및 주사, 타이유 프로게스테론 주사, 슈게스트 프로게스테론 주사, 제니퍼 프로게스테론
주사, 루티너스 질 정, 유트로게스탄 질정, 예나트론 질정, 크리논겔, 사이클로제스트, 프롤루텍스주 등
준비할 서류
1. 체외수정 또는 인공수정 시술확인서(사본) : 시술 이후 병원에서 발급 받는다.
2. (시술기간 내)처방전 1부 : 처방전을 잃어버린 경우는 병원에서 재발급 받을 수 있다.
3. 약국 영수증 사본 : 약봉투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없다면 약국에서 재발급 받을 수 있다.
4. (여성명의) 통장사본 1부 : 남편 명의가 아닌, 시술 받은 여성의 통장사본이다. 모바일 앱 캡쳐로도 대신할 수 있다.
5. 난임시술 약제비 지원 신청서 : 지역별 보건소 웹페이지에서 - 민원서류 게시판에서 다운로드한다.
정부24 온라인 청구 하는 방법
정부 24에서 난임 약제비를 검색하면, 신청하는 메뉴가 나타난다. 그런데, 지역에 따라 일부 온라인 신청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필수로 확인하고 지역에 맞는 메뉴를 선택하자.
1. 신청하기에 앞서 먼저 로그인을 해야한다.
2. 신청하는 페이지에서 [신청인 정보]를 기입한다.
나머지 내용은 자동 기입되어있다. 연락처, 여성 본인 명의의 계좌정보를 입력한다.
3. [시술 정보]를 기입한다.
시술 종류 및 회차는 시술확인서를 바탕으로 적어넣는다.
(예) 인공 1차
지원결정통지서 발급일자는 시술을 시작하기 전에 지원금을 신청하고 이에 따라 발급되었던 결정통지서다. 보통 신청한 당일에 발급되었을 것이다. 이 날짜는 필수는 아니지만, 이후 첨부해야하는 문서에 필요하니 알아둬야한다.
4. 5가지의 서류를 스캔하여 모두 업로드 한다.
차라리 보건소를 방문할 걸 그랬다 싶은 구간이다.
1) 난임시술 약제비 지원 신청서 : 지역별 보건소 > 민원안내 > 민원 서식 에서 다운로드 받은 다음, 인쇄하여 작성한 내용을 스캔한다.
2) 시술확인서
3) 처방전
4) 영수증
5) 통장사본
모두 빠짐없이 업로드한다.
4. 중요 주의사항
주의사항! 여기서 아래 동의하기를 모두 체크한 후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이유는 [정부 24]페이지가 천천히 서류를 첨부하는 동안 로그아웃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신청페이지는 그대로 두고, 탭을 하나 새로 열어서 정부24로 들어가 로그인한다.
그런 다음 다시 이 페이지로 돌아와 신청하기를 누른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35세 임산부 지원금 50만원, 직접 써본 꿀팁과 유산 소파술부터 적용 의료비 총 정리 (0) | 2025.03.01 |
---|---|
조명가게 마지막화 떡밥 정리 및 새로운 등장인물의 의미 (0) | 2024.12.20 |
신한은행 외화 계좌 삼성증권으로 연결하는 방법 (0) | 2024.12.10 |